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 1억 통장 대상 조건 등 내용 정리

by ⁴^》₄€ㅰ 2022. 5. 3.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 중 청년 1억 통장 이라는 것이 있었는데요. 공약이 현실화 될 것 같네요.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구체적으로 청년 1억 통장 제도를 준비중에 있다고 합니다. 내년 출시 예정인 청년 1억 통장 어떤 내용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1억 통장>

 

청년 1억 통장은 청년들이 목돈을 모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통장인데요, 목돈을 총 1억원 만들어준다는 의미에서 청년 1억 통장이라고 많이 불리우지만 일단 가칭은 청년도약계좌 입니다. 장기 저축을 통해 목돈을 마련할 수 있게 해주는 청년장기자산계좌에요.

 

이 청년 1억 통장은 장기상품으로, 최대 10년까지의 가입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10년 만기까지 모두 채우면 1억원의 목돈이 마련되는 것이지요.

 

청년 1억 통장

 

사실 요즘 청년들의 자산 형성이 너무나도 힘든 상황입니다. 코로나로 인해 고용 기회는 축소되었지만 부동산 가격은 치솟는 등 자산 형성이 너무나도 힘든 상황이죠. 이에 따라 청년들이 자산을 축적하는데에 도움을 주기 위해 내놓은 정책으로 보입니다. 

 

청년 1억 통장은 올해 바로 나오지는 않고 내년 중 출시 될 예정이라고 해요. 5월 2일에 있었던 인수위 기자회견에서 이를 밝히면서도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소개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미 공약집을 통해 대략적인 내용은 공개가 되었는데요, 공약에서는 어떤 형태의 청년 1억 통장을 계획하고 있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1억 통장, 즉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70만원 이하를 저축하면 연 3.5% 복리의 이자율 적용 및 정부 지원금을 월 최대 40만원을 받을 수 있는 10년 만기의 청년장기자산계좌 입니다. 지금까지의 청년 지원 금융 상품들과의 차이점을 들자면 소득 제한 없이 나이 조건만 충족하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인데요, 하지만 소득에 따라 주어지는 혜택은 다릅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 1억 통장 내용을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대상 : 만 19세에서 34세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중복 가입 불가능)

- 납입 금액 : 월 70만원 한도

- 정부 지원 내용 : 연소득이 2400만원 이하인 경우 매달 40만원 지원, 연소득이 2400만원~3600만원 구간인 경우 매달 20만원 지원, 연소득이 3600만원~4800만원 구간인 경우 매달 10만원 지원, 연소득 4800만원 이상은 비과세 혜택

- 특징 : 주식형, 채권형, 예금형 중 투자운용 방식을 선택할 수 있음

- 중도 인출 및 재가입 허용(특정 사유에 한해) : 생애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장기실직, 질병에 의한 휴직 등

 

연 소득이 2400만원 이하인 경우에 맥시멈으로 혜택을 받으실 수 있고, 연소득이 4800만원이 넘으면 정부 지원금은 아예 없어집니다. 예를들어 연소득이 2400만원 이하인 청년이 매달 70만원씩 저축을 한다면 정부 지원금 40만원까지 보태져서 총 110만원씩 저축을 하는 셈이 되고, 1년이면 1320만원, 10년이면 1억3천200만원이 되는것이죠. 물론 이는 원금만 계산했을 때이고, 여기에 연이율 3.5%가 붙으면 금액은 더 커지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과 살짝 비교를 해보자면 일단 대상은 만 19세에서 34세의 근로중인 청년이라는 점은 같지만 청년희망적음은 근로소득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의 소득 제한이 있다는 점이 다르고, 납입금은 청년희망적금은 매달 50만원까지 입니다. 대신 연이율은 5%로 더 높구요.

 

청년 1억 통장

 

청년도약계좌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이 나온 것은 없기 때문에 상품이 나오면 좀 더 따져봐야겠지만 어느정도 논란의 여지는 있는 상황입니다. 일단 재원 문제인데요. 이런 청년 상품에는 가입자들이 몰리기 마련이죠. 청년희망적금만 해도 정부는 38만명정도를 예상했으나 실제로 290만명이 몰려들어 은행의 이자비용이 상당히 올랐는데, 과연 몰려드는 수요만큼 정부가 감당해낼 수 있을지 의문이네요.

 

아무쪼록 충분한 검토 후에 제대로 된 제도 및 상품이 준비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댓글